목록전체 글 (6)
yurim45 님의 블로그
1. CRUD를 위한 SQL 구문(1)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CRUD의 개념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4가지의 기본 연산인 Create, Read, Update, Delete의 약어 Create: 데이터 생성,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때 사용 INSERT INTO users (name, email) VALUES (‘ruby’, ‘ruby@dev.com’)Read: 데이터 읽기,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검색할 때 사용SELECT * FROM users WHERE name = ‘ruby’Update: 데이터 수정,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UPDATE users SET email =‘ruby00@dev.com’ WHERE name = ‘ruby’D..

1. 논리적 모델링 개요(1) 논리적 모델링의 개념과 특징 논리적 모델링(Logical Modeling) 의 개념개념적 모델링을 기반으로 키, 속성, 관계 등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과정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고 정체하는 과정논리적 모델링의 일반적인 특징특정 DBMS 혹은 물리적 구현에 독립적인 설계 엔터티를 테이블로 변환속성을 칼럼(속성)으로 변환기본키와 외래키 설정제약 조건 설정⇒ 정규화를 통한 데이터 중복 최소화, 데이터 이상현상 방지, 무결성 및 일관성 유지 논리적 모델의 주요 고려사항엔터티 정제: 유사한 엔터티의 통합 및 분리를 통한 구조화식별자(Key) 선정: 릴레이션(테이블)의 튜플(레코드)를 대표하는 식별자(Key) 선정관계 설정/해소: 교차..

1. 데이터 모델링 개요(1) 데이터 모델링의 개념과 특징모델링?공통된 것. 공통된 것을 잘 모아서 설명해보자. 아주 구체적인 것 보다는 상위 레벨(=추상화된 단계)에서 공통된 속성을 중심으로 설명해보자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의 개념데이터의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서 상위 레벨의 표현 기법으로 정리하는 과정 및 관련 기법데이터의 특징을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과정 및 관련 기법⇒ 즉,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목적과 의도에 따라)추상화하여 물리적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 데이터 모델링의 일반적인 특징추상화(Abstraction): 공통된 속성을 중심으로 상위 레벨에서 단순화(Simplificatioin): 복잡하고 디테일한게 아니라 단순하고명확성(Clarity): 명확하게중복 배제유..

1. MySQL 설치 (1) MySQL 설치다운로드 및 설치 설치 시 비번 잘 기억하기! 설치 확인(2) MySQL 실행시스템설정 > Start MySQL Server터미널 실행 cd /usr/local/mysql/bin./mysql -uroot -p # ./mysql: mysql을 쓰고 싶어# -u: user# root: 나는 root라는 사용자야# -p: 패스워드를 입력할꺼야SHOW DATABASES; 2. Docker를 활용한 MySQL 설치 Docker Desktop 설치 Docker Hub 에서 MySQL Image 확인(1) MySQL 컨테이너 실행 (기본 명령어)docker run --name mysql-container -e MYSQL_ROOT_PASSWORD=root -d -p 330..

1.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 데이터, 정보, 데이터베이스데이터(Data)의 개념관찰 혹은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Fact)이나 값(Value)수치 데이터,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정보(Information)의 개념데이터를 의사 결정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처리한 결과물일정한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거나 정의된 양식에 의하여 가공됨데이터베이스(Database) 개념조직, 업무 목적에 따라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및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공동의 목적을 지원하기 위한 관련 자료들의 집합체특징통합 데이터 (Integrated Data): 중복을 제외하거나 의도적인 중복을 파악하여 관리저장 데이터 (Stored Data):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운영 데이터 ..
티스토리 시작하기! 개발자가 되기 전에는,2016.7.11부터 네이버 블로그에서 일기, 여행, 성장 스토리 등 나의 일상을 기록했고 개발자가 된 후에는,2021.2.19부터 벨로그에서 기술 블로그를 운영했고 현재는,2024.7.14부터 티스토리에 기술 블로그와 기존 네이버에서 작성했던 나의 일상을 모두 기록해보려 한다. 티스토리로 옮기게 된 이유는,- 우선 기술 블로그의 성격이 더 강하게 나타날텐데 많은 개발자들이 이미 사용하고 있고(=생태계 구축이 되어있고)- 티스토리 자체에서 스킨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뭔가 나만의 디자인을 입힌 블로그였음 좋겠다는 생각에!)- 기술 블로그 뿐 아니라 다양한 주제의 글들이 있기에(내가 원하는 방향!) 앞으로 내가 운영할 블로그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옮기려 ..